데살로니가전서 2:1-12
1 형제들아 우리가 너희 가운데 들어간 것이 헛되지 않은 줄을 너희가 친히 아나니
2 너희가 아는 바와 같이 우리가 먼저 빌립보에서 고난과 능욕을 당하였으나 우리 하나님을 힘입어 많은 싸움 중에 하나님의 복음을 너희에게 전하였노라
3 우리의 권면은 간사함이나 부정에서 난 것이 아니요 속임수로 하는 것도 아니라
4 오직 하나님께 옳게 여기심을 입어 복음을 위탁 받았으니 우리가 이와 같이 말함은 사람을 기쁘게 하려 함이 아니요 오직 우리 마음을 감찰하시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려 함이라
5 너희도 알거니와 우리가 아무 때에도 아첨하는 말이나 탐심의 탈을 쓰지 아니한 것을 하나님이 증언하시느니라
6 또한 우리는 너희에게서든지 다른 이에게서든지 사람에게서는 영광을 구하지 아니하였노라
7 우리는 그리스도의 사도로서 마땅히 권위를 주장할 수 있으나 도리어 너희 가운데서 유순한 자가 되어 유모가 자기 자녀를 기름과 같이 하였으니
8 우리가 이같이 너희를 사모하여 하나님의 복음뿐 아니라 우리의 목숨까지도 너희에게 주기를 기뻐함은 너희가 우리의 사랑하는 자 됨이라
9 형제들아 우리의 수고와 애쓴 것을 너희가 기억하리니 너희 아무에게도 폐를 끼치지 아니하려고 밤낮으로 일하면서 너희에게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였노라
10 우리가 너희 믿는 자들을 향하여 어떻게 거룩하고 옳고 흠 없이 행하였는지에 대하여 너희가 증인이요 하나님도 그러하시도다
11 너희도 아는 바와 같이 우리가 너희 각 사람에게 아버지가 자기 자녀에게 하듯 권면하고 위로하고 경계하노니
12 이는 너희를 부르사 자기 나라와 영광에 이르게 하시는 하나님께 합당히 행하게 하려 함이라
// 말씀의 시간
아무런 댓가 없이 뭔가를 주는 사람을 의심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입니다. 세상에는 공짜가 없기 때문입니다. 작은 것 하나로도 무언가를 얻어볼려고 하는 것이 죄로 물든 인간의 생각입니다. 그러니 좋은 것을 줄 수록, 큰 것을 줄 수록 무슨 흑심을 가지고 있길래 나에게 이렇게 잘해주는가 의심해보는 것은 당연히 가질 수 있는 매우 인간적인 마음입니다. 받는 그 순간에는 좋다가도 불안하게 되는 것이 우리의 마음입니다.
오늘 읽었던 말씀에도 좋은 것을 받고도 좋은 것을 누리지 못하고 의심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데살로니가 교회 사람들입니다. 사도 바울이 전한 하나님의 복음을 받고도 복음을 누리지 못하고 사도 바울에 대한 의심을 품었습니다. 왜냐하면 사도 바울은 데살로니가에 오래 머무르며 복음을 상세하고 깊게 가르치지 못하고, 신앙적으로 어린 데살로니가 교인들을 적당한 기간 동안 돌보지 못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사도 바울은 실제로 데살로니가에서 세 안식일 동안 회당에서 말씀을 전했습니다.짧게 보면 3주, 길게 보아도 한 달이 되지 않는 시간입니다. 신앙이 어린 데살로니가 교회 성도들은 그 짧은 시간 동안만 돌봄을 받고 스스로 자립하여 신앙 생활을 해야 한다고 하니 사도 바울이 전한 복음이 진리일지는 몰라도 사도 바울이라는 사람을 믿을 수 없었습니다. 사실, 편지를 받는 데살로니가 교인들도 사도 바울이 어떤 사역을 하였는지 잘 알고 있었습니다. 알고 있었지만, 교회 외부로부터 받는 핍박과 교회 안에서 혼란이 사도 바울의 사역에 대한 평가를 깎아 내리도록 만들었습니다.
사도 바울은 데살로니가에서 한 자신의 사역이 헛되지 않았다는 것과 하나님께서 이 사역의 주인 되신다는 것을 데살로니가 교인들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었습니다. 이 설명은 우리에게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줍니다. 열매 없어 보이는 듯한 신앙 생활 가운데서 큰 위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도 바울은 자신의 사역이 헛되지 않았고 하나님께서 이 사역의 주인 되신다는 것을 두 가지 이유를 들어 설명합니다.
사도 바울의 사역이 헛되지 않고 하나님의 사역인 첫 번째 이유는 사도 바울의 사역은 사람에게서 영광을 구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기 위한 것이었기 때문입니다. 사도 바울이 살던 로마 시대에는 유명한 순회 연설가들이 많았습니다. 그들은 멋들어진 연설을 하고 연설을 들은 대중들에게 많은 사례금을 요구하였습니다. 또한 순회 연설가들은 자신을 후원해주는 중요한 후원자들에게 아첨하여 계속 자신을 후원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그러나 사도 바울은 다른 순회 연설가처럼 사람을 기쁘게 하여 돈을 요구하는 일을 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사도 바울은 교회에 폐가 될까봐 밤낮 일하면서 자신의 체류 비용을 스스로 감당하였습니다. 사도 바울의 사역은 사람에게 영광을 얻으려는 사역이 아니라 하나님께 기쁨이 되려는 사역이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하나님의 기쁨을 위하여 일하는 바울을 인정하여 주셨습니다. 4절 말씀과 같이 하나님께서 사도 바울을 옳게 여기시고 복음을 위탁하셨습니다. 또한 사도의 마음을 감찰하셔서 바른 복음을 전하게 하십니다. 또한 5절 말씀에서도 사도 바울이 아첨하는 말이나 탐심의 탈을 쓰지 않았다는 것을 하나님께서 증언하여 주십니다. 하나님께서 데살로니가 교인들이 많은 환난 가운데서 성령의 기쁨으로 말씀을 받아 주를 본받는 자가 되게 하신 것이 바로 하나님의 증언입니다. 데살로니가 교인들은 마게도냐와 아가야 모든 지역에 있는 믿는 자의 본이 되었습니다. 한 달도 되지 않은 데살로니가 사역이었지만 하나님께서는 데살로니가 교인들의 변화된 모습으로 바울의 사역이 하나님의 사역이었음을 인정하여 주셨습니다.
사도 바울의 사역이 헛되지 않고 하나님의 사역인 두 번째 이유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마음으로 교인들을 사랑하고 섬겼기 때문입니다. 사도 바울은 복음을 전한 자로 또한 데살로니가 교인들을 가르치는 자로 마땅히 후원을 요구할 권리와 권위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사도 바울은 그 권위를 주장하지 않고 어머니가 자기 자녀를 기를 때와 마찬가지로 오직 사랑으로 댓가를 바라지 않고 사역하였습니다. 물론 사도 바울이 교회의 경제적 후원을 완전히 받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로마 교회 같이 형편이 되는 교회의 경우에는 다른 선교지로 갈 수 있는 경제적 도움을 구하기도 했습니다. 빌립보 교회에는 감옥에 갇힌 자신에게 도움을 주어 감사하다는 편지도 보냈습니다.
데살로니가 교회는 이제 막 시작하던 교회였기 때문에 바울은 어머니가 아기를 키우는 마음으로 사역하였습니다. 실제로 데살로니가에서 체류하는 비용을 위해서 교회의 경제적인 지원을 받지 않고 스스로 일하여 벌었습니다. 그리고 이 일에 대해서 원망이나 불평을 하지 않았습니다. 바울은 어머니가 온 정신을 쏟아 아이를 키우듯 자신의 모든 능력과 역량을 동원하여 데살로니가 교회를 품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오냐오냐 키운 것은 아니였습니다. 아버지와 같이 교회에게 권면하고 위로하고 경계하였습니다. 사도 바울은 데살로니가 교회가 바르고 건강하게 자라길 원했습니다. 아버지의 마음으로 사랑하는 마음으로 교회를 권면하고 위로하고 경계하였습니다.
오늘 말씀을 통해 우리는 신앙 생활 가운데 보이는 열매가 없더라도 하나님의 인정하심이 있다면, 우리가 교회를 사랑하는 마음이 있다면 헛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사도 바울은 짧은 기간 동안 데살로니가에서 사역하였지만 그 사역은 짧았기 때문에 헛되지 않았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기쁨을 위해 일했고 부모의 마음으로 사랑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바울의 수고를 알아주셨고 데살로니가 교회를 변화시켜 주셨습니다. 우리의 수고 또한 하나님께서 알아주시리라 믿습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변화된 삶을 사는 복을 누리며 살 줄 믿습니다. 그런 복을 누리시는 성도님들 되시길 소원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